맨위로가기

무성 양순 전동음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무성 양순 전동음은 윗입술과 아랫입술을 떨어 내는 소리이며, 양순 무성 구강음의 한 종류이다. 아함브어, 레세어, 링가라크어, 파라 아라라어, 우비흐어, 와리어, 토바 콤어, 사크어 등 여러 언어에서 사용되며, 각 언어에서 다양한 의미를 나타낸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전동음 - 치경 전동음
    치경 전동음은 혀끝을 치조나 그 주변에 대고 공기를 내뱉으며 혀를 떨어서 내는 유성음으로, 여러 언어에서 'r' 발음으로 나타나며, 혀의 위치와 공기 흐름 조절 연습으로 익힐 수 있다.
  • 전동음 - 양순 전동음
    아랫입술과 윗입술을 사용하여 순간적인 폐쇄와 개방을 반복하는 유성음인 양순 전동음은 국제 음성 기호로 {{IPA|ʙ}}로 표기되며, 오세아니아어족 언어에서 비음화된 형태인 {{IPA|ᵐʙ}}로 나타나기도 한다.
  • 양순음 - 무성 양순 마찰음
    무성 양순 마찰음은 입술을 가볍게 맞대고 공기를 강하게 내쉬어 만드는 무성 구강음으로, 일부 언어에서 음소로 나타나거나 다른 자음의 변이음으로 나타나며 한국어와 일본어 등에서 찾아볼 수 있다.
  • 양순음 - 양순 비음
    양순 비음(/m/)은 입술을 막고 코로 공기를 내보내는 유성 비음으로, 여러 언어에서 사용되며 구개화, 연구개화, 인두화 등의 변이음이 존재한다.
무성 양순 전동음
음성학적 정보
IPA 기호ʙ̥
X-SAMPAB 0
키르셴바움p<trl>
명칭
한국어 명칭무성 양순 전동음
영어 명칭Voiceless bilabial trill
일본어 명칭無声両唇ふるえ音
소리
사용 예시
파라 아라라어파라 아라라어에서 나타남.
예시 단어t̪͡ʙ̥
차파쿠라어족차파쿠라어족의 와리어, 오로 윈어에서 tʙ̥로 나타남.
조어tᵖ̃
기타
관련 음성 기호
t͡p
o
y
k͡pʙ̥
k͡p

2. 특징


  • 양순음: 윗입술과 아랫입술을 떨어서 내는 소리이다.
  • 자음이다.
  • 무성음: 소리를 낼 때 성대가 울리지 않는다.
  • 구강음: 입을 통하여 공기가 빠져나가면서 내는 소리이다.
  • 중설-측설음: 혀의 중앙과 양 옆으로 공기가 빠져 나가면서 내는 소리이다.
  • 폐장음: 허파로부터 공기를 내보내면서 내는 소리이다.

3. 언어별 사용

무성 양순 전동음이 사용되는 언어는 다음과 같다.

언어단어IPA의미비고
아함브어[4][ŋãˈʙ̥̍s]'거품이 일다'와 대조된다.
레세어[5][uk͡pʙ̥u]'머리'/k͡p/의 변이음
네버버어[6]colspan="2" |'불, 장작'
파라 아라라어[7]colspan="2" |'버리다'
우비흐어[8]'тв'аҳəбза/tuaqhəbza[t͡ʙ̥aχəbza]'우비흐어'의 변이음. 우비흐어 음운론 참고
와리어'tpotp'owe'닭'



이후 해당 언어들은 지역별로 분류되어 있으며, 일부는 소멸된 언어도 포함되어 있다. 하위 섹션에서 각 언어별 자세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3. 1. 아메리카

파라 아라라어에서는 '작고 둥근 밭'을 , '내던지다'를 로 표현한다.[9][13] 콤어에서는 '믿다'를 로 표현한다. 에서는 '불, 장작'을 로 표현한다.[12] 사크어에서는 '작물'을 ()로 표현한다. 우비흐어에서는 '우비흐어'를 로 표현하며, 이는 의 이음이다.[14] 와리 어에서는 '닭'을 로 표현한다.

언어단어IPA의미비고
파라 아라라어[9][13]'작고 둥근 밭'
콤어'믿다'
[12]'불, 장작'
파라 아라라어[13]'내던지다'
사크어'작물'
우비흐어[14]'우비흐어'의 이음.
와리 어'닭'


3. 2. 오세아니아

언어단어IPA의미비고
파라 아라라어[9]'작고 둥근 밭'
콤어'믿다'
Neverver language영어[12]'불, 장작'
파라 아라라어[13]'내던지다'
사크어'작물'
우비흐어[14]'우비흐어'의 이음.
와리 어'닭'


3. 3. 아시아

언어단어IPA의미비고
사크어'작물'
우비흐어[14]'우비흐어'의 이음


3. 4. 소멸된 언어

다음은 무성 양순 전동음이 소멸된 언어들이다.

}

| '작고 둥근 밭'

|

|-

| 콤어

| ʙ̥ɨmɨ|und

| '믿다'

|

|-

| Neverver language|네베르베르어영어[12]

| naɣaᵐʙ̥|und

| '불, 장작'

|

|-

| 파라 아라라어[13]

| ʙ̥uta|und

| '내던지다'

|

|-

| 사크어

|

| ʙ̥rɪt|und

| '작물'

|

|-

| 우비흐어[14]

| t͡ʙ̥aχəbza|und

| '우비흐어'

| /tʷ/|und의 이음

|-

| 와리 어

| t͡ʙ̥ot͡ʙ̥oweʔ|und

| '닭'

|

|}

참조

[1] 학위논문 A Phonological Description of "Pet Talk" in Arara University of North Dakota
[2] 뉴스 Linguist Wins Symbolic Victory for 'Labiodental Flap' https://www.npr.org/[...] NPR 2005-12-17
[3] 웹사이트 LINGUIST List 8.45: Bilabial trill https://linguistlist[...] 2010-12-08
[4] 간행물 The bilabial trills of Ahamb (Vanuatu): Acoustic and articulatory properties https://assta.org/pr[...] Australasian Speech Science and Technology Association Inc. 2019
[5] 학술지 Phonetic characteristics of double articulations in some Mangbutu-Efe languages https://hal.archives[...] 1997-09
[6] 서적 A Grammar of Neverver https://books.google[...] Mouton de Gruyter
[7] 학위논문 A Phonological Description of "Pet Talk" in Arara https://web.archive.[...] SIL Brazil 2014-01-09
[8] 기타
[9] 학위논문 A Phonological Description of “Pet Talk” in Arara https://www.semantic[...] University of North Dakota 2020-03-30
[10] 뉴스 Linguist Wins Symbolic Victory for 'Labiodental Flap' https://www.npr.org/[...] NPR 2005-12-17
[11] 웹사이트 LINGUIST List 8.45: Bilabial trill http://www.linguistl[...] 2010-12-08
[12] 서적 A Grammar of Neverver https://books.google[...] Mouton de Gruyter
[13] 학위논문 A Phonological Description of “Pet Talk” in Arara https://web.archive.[...] SIL Brazil 2014-01-09
[14] 기타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언어단어IPA의미비고
파라 아라라어[9]{{lang|und|ʙ̥utakeni|}